한국정신분석학회

바로가기 메뉴
본문내용 바로가기
하단내용 바로가기

정신분석이란?

HOME > 정신분석이란 > 정신분석이란?

정신분석(psychoanalysis)은 오스트리아 출신의 의사 프로이드(Sigmund Freud, 1856-1939)에 의해 시작된 정신과 영역의 한 치료법입니다. 쉽게 생각한다면, 정신분석은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는 한가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분석가는 대화를 통하여 환자의 마음을 이해하고, 이러한 이해를 환자에게 되돌려 줌으로서 환자가 자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받게 하는 치료법이라고 말 할 수 있겠습니다.

정신분석에서는 두 가지의 가정을 합니다.
첫번째 가정은 현재의 어떤 사람의 행동 및 사고, 감정 등이 현상태에서 우연히 일어나는 것이기 보다는 과거에 그 사람이 겪었던 여러 가지 사건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psychic determinism).
두번째 가정은 이러한 과거의 사건과 현재의 행동 및 사고, 감정 등의 연결이 우리가 의식하고 있는 마음 (의식, Conscious)으로는 잘 설명이 되지 않지만, 우리가 잘 모르고 있는 우리 자신의 어떤 마음의 부분 (무의식, Unconscious) 을 이해하게 되면 훨씬 설명하기가 쉬워진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평소에는 모르고 있는 우리 자신의 마음의 부분인 무의식이 실은 우리마음의 대부분을 차지해서, 실지로는 우리가 의식하고 있는 우리의 마음의 부분은 전체의 우리의 마음 중에 매우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프로이드가 말한 빙산의 비유는 여러분도 잘 아시는 것으로, 수면 위로 나와 있는 빙산의 부분 (의식된 마음)은 수면 밑에 있는 빙산의 부분(의식하지 못하고 있는 마음, 무의식)에 비해서는 아주 적은 빙산 (마음)의 부분이라는 것입니다 (theory of unconsciousness).

이런 무의식의 과정은 무의식에 관한 책을 많이 보고 공부를 한다고 해서 알게 된다기 보다는 분석가와의 대화 작업을 통해서 알 수 있게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무의식의 내용들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떠올리게 될 정도의 가볍고 편한 내용이 아니어서 사람들은 무겁고 괴로운 무의식의 내용들을 스스로 떠올리기가 매우 힘들며, 분석가와의 작업도중에도 이러한 내용들을 애써 피하게 된다는 인간의 속성 (저항, resistance) 때문입니다. 또 하나의 인간의 속성은 과거에 일어났던 일을 꾸준히 반복한다는 것인데, 과거에 한 인간이 만들어 왔던 중요한 인물과의 여러 가지 관계를 분석가와도 다시 재연하게 된다는 사실 (전이현상, transference) 의 관찰이 환자의 이해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무의식을 알기 위해서는 분석가의 도움이 필요한 이유가 될 것입니다.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들이 과거에 자신이 겪었던 여러 가지 경험과 사건에 의한 것이라는 확신이 든다면, 그리고 자신의 문제를 직면하여 과거의 자신의 경험에 대한 탐구를 할 준비가 되었다면 그것은 본인의 무의식을 알기 위한 준비가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분석가를 적절한 경로를 통하여 만날 수 있고, 자유연상 (free association: 무엇이든 느껴지거나 생각나는 것을 솔직히 분석가에게 이야기하는 것)을 통해 자신의 무의식을 탐구해 나가는 작업을 하게 됩니다. 분석을 받는 환자에게는 고도의 솔직성과 진실성이 요구되고, 본인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언어로 표현하는 능력이 필요한 것도 사실입니다. 즉, 환자는 현재의 본인의 문제가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이루어진 본인 자신의 정신세계 (pshche)에 있음을 인정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용기와 힘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분석가는 필요할 때는 환자를 격려도 하고 위로도 할 수 있지만, 기본적인 분석가의 역할은 환자를 이해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환자 자신이 본인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환자의 문제와 이와 관련된 무의식을 분석가와의 분석작업을 통하여 알게 되었다고 해서 본인의 행동이 일순간에 변화하여 환자가 원하는 안정된 상태에 도달하는 것은 아닙니다. 정신분석치료가 오래 (적어도 수년) 지속되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인간의 본성은 익숙하고 편한 것을 택하려는 경향이 있어서 수 십년 동안 습관처럼 반복해온 우리의 행동과 사고가 어떤 순간의 깨달음으로서 바뀌는 것은 실지로는 매우 어려운 일 입니다. 정신분석작업 중에도 우리의 무의식적 마음은 옛 것을 고집하려는 경향을 보이는데 (저항, resistance), 실지로 이러한 인간의 경향 때문에 정신분석을 받기 위해서는 고도의 지속성과 성실성이 필요로 하기도 합니다. 본인의 문제 및 무의식을 계속하여 반복적으로 탐구해 나가는 이러한 과정을 훈습 (working through)이라고 하는데, 이 과정이 어느 정도 이루어 져야, 본인이 이 정말 원하는 것 (무의식적 소망, unconscious wish)이 무엇이며, 이러한 무의식적 소망 중, 포기해야 할 것, 인정해야 할 것 등을 의식에서 알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행동할 수 있게 됩니다. 즉, 외부로부터 주어진 의무나 가치에 의한 생을 살아가기 보다는 자신의 내면에서 요구하는 것 (무의식 적인 것)을 현실화 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생활에 만족하게 됩니다.

정신분석이 다 되었다고, 본인의 무의식을 모두 알게 되었다고 해서, (실제로는 정신분석이 완전할 수도 없고 본인의 모든 무의식을 전부 알 수 있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처럼 여겨집니다.), 그리고 훈습이 어느 정도 되었다고 해서, 환자의 모든 고통이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여전히 한 인간으로서의 한계와 제약성, 인생의 고통이 환자 앞에 널려 있습니다. 그러나 정신분석 후 환자가 느끼는 다른 점이 있다면 본인의 어려움을 예전에 비해 덜 두려워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고통을 처리해 갈 수 있는 환자의 능력 (자아의 기능, functions of ego)이 정신분석과정 (psychoanalytic process)을 통하여 배양되어서 어려움을 극복하는 힘을 가지게 되어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즉, 정신분석은 한 환자로 하여금 모든 것을 전부 통달하여 어려움이 전혀 없는 상태로 만든다기 보다는 어려움이 있을 때, 그것이 어렵다는 것을 인정하고 최선을 다해 대처해 나가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정신분석은 환자로 하여금 인생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인정하고, 본인의 한계성을 인정하게 하여, 좀더 현실적이고 (realistic), 인간적인 (humanistic) 사람으로 만드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정신분석이란

Copyrightⓒ2003 KPS

[03174] 서울특별시 종로구 내수동 72번지 경희궁의 아침 3단지 오피스텔 621호 한국정신분석학회 사무국
23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