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신분석학회

바로가기 메뉴
본문내용 바로가기
하단내용 바로가기

HOME > 교육프로그램

한국정신분석학회(Korean Association of Psychoanalysis, KAPA)의 자매학회인 한국정신분석연구원(Korean Institute of Psychoanalysis, KIPSA or Korean Psychoanalytic Study Group, KPSG)은 국제정신분석학회(international Psychoanalytical Association)에서 공인된 정신분석가 교육과정을 통한 정신분석가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정신분석가교육과정 지원자 중 심사 및 면담을 통해 선발 된 후보자(candidate)는 수 년여의 개인교육분석(training personal analysis), 정신분석의 이론 공부 및 세미나(didactic course & seminars), 교육분석가의 지도하에서의 정신분석의 방법을 통한 환자 치료(supervised clinical work) 등의 수련과정을 통해 졸업을 하게 되면 정신분석가로서의 삶이 시작되며, 이러한 정신분석가는 독립적으로 환자를 정신분석의 방법으로 치료하는 도움을 주는 이외에 지속적인 세미나 등을 통한 수련 및 후학지도에 참여하게 됩니다.

정신분석교육과정 임상수련생의 선발기준과 정신분석교육과 임상수련의 요소에 대해 간단히 아래와 같이 설명을 드리려 합니다.

한국정신분석연구원(Korean Institute of Psychoanalysis, KIPSA) or Korean Psychoanalytic Study Group, KPSG) 정신분석교육과정 임상수련생(clinical candidate) 선발 기준(수시모집)

(한국정신분석연구원 정신분석 교육을 위한 원칙과 기준 2020-12-6 개정 에서 발췌)

정신분석교육과 임상수련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환자 치료에 윤리적이고 책임감 있게 지속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전문가로서 자기정체성이 확립되어야 있어야 한다.

정신분석교육은 수련생의 선발과정으로 시작되는데, 이 과정에는 많은 요소가 고려된다. 선발은 지원자의 자격요건, 적격성, 그리고 준비성의 평가에 근거한다. 한국정신분석연구원은 지원자를 나이, 성적인 기호, 종교, 인종, 민족적 배경에 의해 차별하지 않는다.

A. 적합성(suitability)

정신분석교육과 임상수련의 지원자 선발은 적합성 평가를 포함한다. 분석가에게 필요한 특성과 윤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의 평가가 중요하다. 지원자는 본인의 진실성, 정직성, 성숙도, 유연성 그리고 성격적 강점을 충분히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 지원자는 자기관찰능력, 자기점검능력, 그리고 대인관계에서 적절한 경계유지능력 또한 입증하여야 한다.

B. 적격성(eligibility)과 준비성(readiness)

정신분석교육과 임상수련을 위한 지원자 선발은 적격성과 준비성의 평가에도 근거한다. 지원자가 받은 이전의 교육, 임상수련, 임상경험, 소질과 정신분석적 능력의 잠재력을 평가한다. 정신분석교육과 임상수련을 위한 적격성과 준비성은 다양한 과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아래의 범주에 드는 지원자가 기본적으로 적격성을 가지게 된다. 이 범주에 들지 않는 지원자는 자동적으로 적격성을 갖지는 않으나, 한국정신분석연구원 입학심사소위원회에서 결정하면 적격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정신분석수련을 받기에 적합한 자질과 조건을 갖춘 지원자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1) 지원자의 학업 및 수련은 적어도 대학 졸업의 학위 또는 그와 동등한 정도가 되어야 한다.
  • 2) 각 지원자는 한국정신분석연구원에 의해 임명된 적어도 2명의 평가 위원에 의한, 두 번의 분리된 면접심사를 받아야 한다.
  • 3) 지원자를 선택하는 마지막 결정은 연구원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책임을 부여 받은 그룹의 회의에서 이루어진다. 이 그룹은 면접심사를 한 위원 외에 다른 위원들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어떤 개인이나 비공식적인 그룹에 의해서 선택에 대한 결정이 내려져서는 안 된다.

정신분석교육과 임상수련의 성공 여부는 단순히 이전의 교육, 학위의 종류나 임상경험 기간에 기초하여 예측할 수 없다. 이전의 정신건강에 대한 교육과 임상수련의 정도와 질이 평가되어야 한다. 정신분석은 적절히 선별된 환자들에게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일 수 있으나, 이는 고도의 특화된 치료기법이다. 많은 환자들이 정신분석을 보완한 치료나, 다른 양식의 치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분석가는 이러한 환자들에게 정신분석 치료를 제공하거나 다른 권유를 하기 위해 진단적 평가에 능숙해야 한다. 정신분석교육을 통해서 (정신분석에 대한 이론적 지식이나 임상경험을 통해서) 미래의 분석가가 이러한 능력을 충분히 키울 수 있다고 할 수는 없다. 이러한 능숙함은 이미 습득되었거나, 아니면 습득과정 중이어야 한다. 즉 정신분석교육만으로는 환자 치료에 있어서 꼭 필요한 헌신과 책임감, 전문가적 정체성의 발전을 모두 이룰 수는 없다.

C. 적합성, 적격성 그리고 준비성의 평가

적합성과 적격성의 평가는 지원자의 인성과 진실성, 교육, 임상수련, 임상경험과 전문가적 정체성과 성숙도의 평가에 근거한다. 준비성의 평가 또한 이에 포함된다. 지원자의 임상능력의 수준, 성장능력, 정신분석적 방법론의 학습을 위한 자질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적합성 결정을 위해서는 개인 면담을 하며, 적격성을 입증할 전제조건을 갖추었는가의 결정을 위해서는 지원자의 이력서와 개인기록의 검토를 하며, 이에 부가하여, 준비성의 평가를 위해 지원자는 본인이 행하였던 정신치료 증례를 서면으로 제출한다. 지원자가 제출한 정신치료 증례는, 특히 이 증례가 분석가에 의해 지도감독이 된 경우, 지원자의 임상적 자료를 끌어내고 통합하는 능력의 정도와 적절한 경계유지와 치료과정을 만드는 능력을 평가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정신치료 임상작업의 증례는 지원자의 정신분석적 능력의 잠재력을 판단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평가는 지원자가 지원자 자신의 반응이 정신치료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이루어 진다.

D. 전학 지원자

국제정신분석학회에 속한 다른 정신분석연구소의 수련생은 한국정신분석연구원으로 전학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수련생은 다른 지원자와 동일한 정규 선발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국정신분석연구원은 국제정신분석학회에서 인정한 다른 정신분석연구소에서의 이전 교육에 대해서 한국정신분석연구원의 교육과정에 상응하는 부분은 인정한다.

문의사항 연락처: 한국정신분석연구원 입회심사소위원회 위원장 이인수(psychoanalysis.lee@gmail.com)

정신분석교육과 임상수련의 요소

(한국정신분석연구원 정신분석 교육을 위한 원칙과 기준 2020-12-6 개정 에서 발췌)

정신분석 교육은 이론적 그리고 임상적 원칙에 대한 공부를 포함하여, 학업적 성취, 개인적 성장 그리고 정신분석적 임상 전문가로의 성장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건은 아래와 같다. 그러나, 분석가가 되기 위한 교육은 요건의 양적 충족 이상을 요한다. 원칙과 기준은 정신분석 교육의 세가지 기본 요소 사이의 적절한 균형 성취를 강조한다. 즉 수련생의 개인정신분석, 정신분석의 이론적, 임상적 원칙을 배우는 교과과정, 그리고 지도감독 하의 정신분석 임상경험이 이 세 요소이다. 상기의 세 요소를 동시에 경험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세 요소의 동시 경험에 의해서만 이 세 요소가 서로 영향을 주고, 명료화되고,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의존적인 요소들은 강렬한 개인적 관계에 대한 다면적이고 심오한 경험을 제공하며, 이는 정신분석적 정체성의 기초가 되는 깊은 이해와 확신을 갖게 한다.

A. 개인정신분석

정신분석 교육의 필수적 부분 중 하나는 개인정신분석 또는 교육정신분석이다. 개인정신분석은 초기 단계에서 불안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분석경험이 수업에서의 학습 경험을 풍요롭게 할 수 있으므로, 수련생은 학기가 시작하기 전에 교육분석가와 분석을 시작할 것이 권고되며, 이상적으로는 반년 전에 시작하기를 권고한다. 수련생은 지도감독 하의 정신분석 임상작업과 교육분석가와의 개인정신분석을 상당기간 병행해야 한다. 한국정신분석연구학회의 수련생의 개인정신분석은 종결까지 주4회 또는 주5회의 빈도로 직접 만나서 진행되어야 하나, 특별한 상황에서는 일시적으로 빈도의 변화나 직접 만나서 진행하여야 하는 원칙에 변화가 가능하다. 하루에 한 세션이 권고되나 압축 정신분석(condensed psychoanalysis) (하루 두 세션, 각 세션당 최소 한 시간의 간격)은 수련생의 통근이 어려운 경우에 국제정신분석학회가 (한국정신분석연구학회와 국제정신분석학회 스폰서링 커미티의 결정을 통해) 허가한 경우에 허용된다. 전화 정신분석은 금한다. (이는 미래에 국제정신분석학회의 수련생 전화 정신분석에 대한 규정이 변화하면 그에 따라 수정한다.)

적절한 개인정신분석의 경험은 가장 중요한 기준이며, 이는 수련생에게 깊이와 강도 있는 분석의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모든 개인정신분석은 앞에 정의한 기술적인 원칙, 상호 헌신, 프라이버시(privacy)유지, 비밀유지(confidentiality) 그리고 윤리적 행동의 원칙에 따라서 진행되어야 한다. 수련과정 중의 개인정신분석은 수련생이 높은 수준의 인격적 안정성, 개방성, 유연성 그리고 성숙을 성취하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수련생이 자기관찰능력, 자기반성능력 그리고 최종적으로 지속적인 자기정신분석능력을 성취하는데 필수적인데, 자기정신분석능력은 기본적 정신분석적 태도의 유지에 필수적이다. 기본적 정신분석적 태도에는 배움과 경험에 대한 분석가의 창의적 개방성도 포함된다. 이 성취가 중요한 것은 미래의 분석가가 본인의 심리적인 취약함과 성격적 특성에서 충분히 자유롭지 않으면, 이 영역에서 정신분석 임상작업이 저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정신분석은 갈등, 정서, 방어 그리고 그들 상호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 의식과 무의식 과정의 특성과 힘에 대한 직접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전이 정신분석의 치료적 가치와 어린 시절 경험과 기억 그리고 판타지 이해의 가치에 대한 확신을 가지게 한다. 개인정신분석의 주4회 혹은 주5회의 높은 빈도의 세션을 갖는 치료환경은 아동기 초기 갈등을 재개하고, 정신분석 과정 중에 나타나는 방어의 정신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과정의 연속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정신분석 과정의 많은 부분은 규칙성과 높은 빈도의 세션이라는 환경에 의해 생성되는데 그 예로서는 감정과 병식의 통합, 새로운 합성과 통합이 일어날수 있기 위해 불안정한 상태를 견뎌야 하는 필요성, 환자와 분석가 양자의 무의식적 결정요인들의 섬세한 반복성이 이러한 특수한 정신분석치료환경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B. 정신분석 교육과정

정신분석의 통합된 교육 과정은 수련생이 핵심적인 정신분석이론과 정신분석 임상경험 그리고 그 둘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포괄적이 이해를 습득하게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임상 상황과 이론적 주제에 대한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탐구는 이론이 임상 상황에서 어떻게 정신분석 임상작업에 이용되는가와, 임상에서 경험되는 딜레마가 어떻게 정신분석 이론의 발전을 가져오는지를 보여준다. 교육과정은 개인정신분석과 지도감독 하의 정신분석 임상작업과 병행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통합적 교육의 목적은 수련생이 정신분석이론의 형성과 수정의 경험적 기초를 이해하여 정신분석 임상작업의 내용을 개념화하는 기술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세미나가 진행되는 시기에 적절한 임상경험 즉 환자에 대한 정신분석 임상작업을 하지 못하는 경우, 세미나 기간 이후의 프로그램이 수련생이 이러한 통합의 기회를 얻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수업교육 과정은 4년의 기간에 걸친 예정된 연속적 세미나 또는 최소 450 시간 (300세션: 한 시간 반의 세미나)의 세미나로 이루어 진다.

이 교육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제로 구성된다.

  • 1. 정신분석 치료환경과 기법
  • 2. 정신분석이론
  • 3. 정신병리
  • 4. 발달
  • 5. 지속적 증례세미나(continuous case seminar)와 임상 컨퍼런스(clinical conference)
  • 6. 선택강좌

4년의 기간에 걸친 수업교육 과정의 대강은 다음 표와 같다.

A. 1st year Curriculum

FIRST SEMESTER
  • 1. Orientation to Candidacy
  • 2. Introductory Lecture about Core Concept of Analysis
  • 3. Introduction to Writing about Process
  • 4. History of Analysis I
  • 5. Criteria for Analysis & Clinical Assessment
  • 6. Early Development of Freud’s Thoughts
SECOND SEMESTER
  • 1. Dreams I
  • 2. Introduction & Opening Phase of Analysis (including Analytic Situation, Analisability)
  • 3. Resistance, Tr, & CTr
  • 4. Analytic Theories of Infant/Child Development: Infancy
  • 5. Freud’s Cases

B. 2nd year Curriculum

FIRST SEMESTER
  • 1. Topographical & Structural Points of View I
  • 2. Interpretation, Reconstruction, Working Thought, Insight, Structural & Other Change
  • 3. Technique in the Middle Phase of Analysis
SECOND SEMESTER
  • 1. Topographical & Structural Points of View II
  • 2. Dreams II (Clinical Applications of Dreams)
  • 3. Phases of Development from Preoedipal through Adolescence

C. 3rd year Curriculum

FIRST SEMESTER
  • 1. Object Relations Theory I
  • 2. Adulthood Development
  • 3. Clinical Issues(Phobia, Obsession Disorder, Hysteria, Neurotic Depression, Narcissistic Personality, Borderline Personality, Somatization Disorder)
SECOND SEMESTER
  • 1. Object Relation Theory II
  • 2. Termination of Analysis
  • 3. Child Analysis
  • 4. Self Psychology, Linguistics(Lacanian Psychoanalysis) & Other Theories
  • 5. History of Psychoanalysis II
  • 6. Psychoanalytic Theory of Group

D. 4th year Curriculum

FIRST SEMESTER
  • 1. Kleinian Theory & Practice
  • 2. Aging & Senescence
  • 3. Mind-Brain Concept including Neurobiology
  • 4. Analytic Points of View of Depression
  • 5. Analytic Points of View of Schizophrenia
  • 6. Conceptualizing Psychoanalytic Process
SECOND SEMESTER
  • 1. Sexuality & Gender
  • 2. Applied Psychoanalysis
  • 3. Ethics
  • 4. Writing, Research, & Selected Topics

성인환자 정신분석 과정에서의 지도감독 하의 정신분석 임상작업

지도감독 관계는 수련생에게 정신분석적 방법을 성공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배우고 발전시키는 장을 제공한다. 수련생은 환자는 카우치에 눕고, 분석가는 환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어떻게 자유연상기법을 사용하는가를 배운다. 정신분석적 방법은 일시적 중단이나 일시적 치료 빈도의 변화와 같은 예외적인 상황 외에는, 환자와 직접 최소 주4회 각자 다른 날에 종결까지 만나는 약속을 포함한다. 압축 분석 (하루에 한 회기 이상을 하는 경우)은 권고되지 않는다. 정신분석 치료의 진행은 특별한 재능, 태도 그리고 기술을 요한다. 예를 들면 정신분석 치료상황은 피분석자에게 전이에 기초한 관계의 해결과 발전을 통해 정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분석가는 개인적인 감정, 의견 그리고 태도의 표현을 제한하고 그 대신 환자의 자유연상의 흐름에 집중해야 한다. 분석가는 환자의 무의식적 파생물에 수용적이어야 하며 때로는 지속적이고 강렬한 감정이 수용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분석가는 환자의 특정 소망과 요구를 만족시키지 말아야 하는데, 이는 환자가 피하고 있는 생각, 소망 경험을 드러낼 수 있도록 하여 더 큰 자기 표현의 자유와 자기이해를 증진하기 위함이다.

수련생은 지도감독 하에 임상적으로 환자에 대한 정신분석 임상작업을 하는 동안 상당한 기간 동안 개인정신분석을 지속해야 한다. 정신분석의 교육과정은 개인정신분석과 지도감독 하의 정신분석 임상작업이 동시에 진행될 때 유익하다는 경험에 기초한다. 또한 수련생은 위에 언급된 정신분석 치료의 특별한 양상으로 인해 분석가 내에서 강렬한 감정과 무의식적 갈등이 자극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이러한 양상은 정신분석과 다른 치료 (정신분석적 이론이 개념적 기초가 되는 치료 포함)의 차이이다. 그러므로, 경험이 많은 정신치료자도 정신분석 상황이 감정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수련생이 정신분석적 방법의 사용에 요구되는 개인적인 자제에 의해 일깨워질 수 있는 강렬한 감정과 무의식적 파생물을 살펴보고 반추하는 것은 개인정신분석을 통해서이다. 이러한 자기검토는 수련생에게 자기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확장할 기회를 준다. 수련생이 지도감독 하에 정신분석 임상작업을 할 준비가 되었는가에 대한 평가는 한국정신분석연구학회 교육위원회에서 한다. 수련생은 국제정신분석학회가 인정하는 최소 세 명의 각기 다른 분석가에게 지도감독을 받아야 한다. (국내 지도감독 분석가는 필수이고, 특히 첫 번째 사례의 경우 그러하다. 외국의 지도감독 분석가도 또한 권유된다.) 교육분석가는 수련기간 어느 시기에도 자신의 피분석자를 지도감독하지 않는다. 수련생은 분석을 독립적으로 진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기르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다수의 환자를 정신분석으로 치료하는 경험을 해야 한다. 각 성별의 환자를 포함하는 세 명의 성인 사례가 최소한의 요구 조건이나, 그 이상의 사례를 경험하기를 권고한다. 수련생이 중요한 발달 요인과 중심 갈등을 인지하고, 평가하고 해석할 수 있기 위해서는 최소 세 개의 각 증례에 대한 충분한 기간의 지도감독이 필요하다. 또한 지도감독을 통하여 중요한 전이 현상이 발달하고 관찰되고 이해되어야 하며, 전이현상을 가지고 작업을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기간이상 지도감독은 지속되어야 한다. 최소한 한 사례에서는 종결까지 지도감독을 지속할 것을 권고한다. 일반적으로 지도감독의 전 기간 동안 매주 지도감독을 받는 것이 적절하며 수련생이 독립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을 조건이 될 때까지 지도감독을 규칙적으로 받을 것을 권고한다. 유의미한 정신분석 임상작업이나 정신분석 과정이 진행되지 않는 사례는 수련생에게 충분한 경험을 제공하는 세 개의 수련 사례 중 하나로 인정되지 않는다. 그 예로는 정신분석과 지도감독 시간이 상당기간이 지났더라도 치료가 혼란스러운 상태로 지속되거나, 저항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교육프로그램

Copyrightⓒ2003 KPS

[03174] 서울특별시 종로구 내수동 72번지 경희궁의 아침 3단지 오피스텔 621호 한국정신분석학회 사무국